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일반용 전기요금표 2025년 7월 인상과 절약 꿀팁 간단 정리

by Simple Life Guide 2025. 7. 24.

 

 

 

 

 

전기요금 고지서 보고 놀란 적 있나요? 일반용 전기요금과 인상 소식, 절약 꿀팁까지
2025년 기준 핵심 정보만 간단히 정리해볼게요.

 

 

 

 

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!

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 바로 이동합니다

목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전기요금일반용
    전기요금일반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일반용 전기요금표 2025

     

    구분 계약전력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시간대 적용기간
    일반용(갑)Ⅰ 4kW 미만 1,260원/kW 114.5원/kWh 단일요금 연중
    일반용(갑)Ⅱ 4-300kW 2,050원/kW 경:78.3원/kWh 경부하 연중
    일반용(갑)Ⅱ 4-300kW 2,050원/kW 중:122.2원/kWh 중간부하 연중
    일반용(갑)Ⅱ 4-300kW 2,050원/kW 최:183.7원/kWh 최대부하 하계(7-8월)
    일반용(을) 300kW 이상 2,210원/kW 경:74.8원/kWh 경부하 연중
    일반용(을) 300kW 이상 2,210원/kW 중:116.6원/kWh 중간부하 연중
    일반용(을) 300kW 이상 2,210원/kW 최:182.7원/kWh 최대부하 하계(7-8월)

     

    일반용 전기요금은 계약전력에 따라 달라요. 일반용 전기는 마트, 빌딩, 음식점 같은 상업시설에 주로 적용되는데, 계약전력이 4kW 미만이면 일반용(갑)Ⅰ, 4-300kW면 일반용(갑)Ⅱ, 300kW 이상이면 일반용(을)로 나뉘어요. 4-300kW 구간은 시간대별 요금(경부하 78.3원, 중간부하 122.2원, 최대부하 183.7원/kWh)이 적용돼 7-8월 최대부하 시간대(14-17시)에 전기 많이 쓰면 요금이 확 올라가요. 2025년 기준으로 요금표는 위와 같으니 참고해서 사용량 조절하세요 :)

     

    시간대별 요금 이해가 중요해요. 일반용(갑)Ⅱ와 (을)은 시간대별로 요금이 다르게 책정돼요. 예를 들어, 여름철 낮 시간(14-17시)은 최대부하 요금 183.7원/kWh이 적용돼 에어컨이나 대형 기기 사용 시 요금이 많이 나올 수 있어요. 반면, 밤 22시-08시는 경부하 시간대라 요금이 저렴하죠. 시간대별 사용량 체크해서 절약 가능해요!

     

    추가 요금도 챙겨야 해요.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 외에 부가가치세 10%전력산업기반기금 3.7%가 붙어요. 또, 연료비조정요금(5원/kWh)과 기후환경요금(9원/kWh)도 포함되니, 고지서 볼 때 이런 항목들 꼼꼼히 확인하면 계산이 쉬워져요. 한전ON에서 사용량 조회하면 더 정확해요 :)

     

    2025년 요금 동결로 부담 줄었어요. 2025년 7월 기준, 일반용 전기요금은 동결돼서 소상공인들 부담이 덜해요. 하지만 시간대별 요금제 잘 활용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고지서 나올 수 있으니, 경부하 시간대 활용으로 절약해볼 만해요. 한전ON에서 요금 계산기 돌려보면 예상 금액 바로 알 수 있죠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2-2023 전기요금 인상 내역

     

    연도 인상 시기 대상 인상폭 비고
    2022 4월 전체 6.9원/kWh 연료비+기후
    2022 7월 전체 5.0원/kWh 연료비조정
    2022 10월 일반용(을) 7.0-11.7원/kWh 고압별 차등
    2023 1월 전체 13.1원/kWh 최대 인상
    2023 5월 주택용 8.0원/kWh 전력량요금
    2023 11월 일반용(을) 10.6원/kWh 대용량

     

    2022년엔 세 차례 인상됐어요. 2022년엔 연료비 상승으로 전기요금이 총 18.9원/kWh 올랐어요. 4월에 6.9원/kWh 인상(연료비+기후환경요금), 7월에 5.0원/kWh (연료비조정), 10월엔 일반용(을) 고압 고객 대상으로 7.0-11.7원/kWh 추가 인상됐죠. 소상공인들은 4-300kW 구간이라 영향 덜 받았지만, 대형 빌딩은 부담이 커졌어요.

     

    2023년엔 부담이 더 늘었어요. 2023년 1월엔 전 용도 대상으로 13.1원/kWh 인상돼 1981년 이후 최대 폭이었어요. 5월엔 주택용 전력량요금이 8.0원/kWh 올랐고, 11월엔 일반용(을)에 10.6원/kWh 추가 인상됐어요. 이로 인해 대형 상업시설 운영비가 크게 뛴 경우 많았죠;;

     

    한전 적자 때문에 인상됐어요.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으로 LNG 등 연료비가 급등하면서 한전은 2021-2023년 41조원 적자를 기록했어요. 원가 이하로 전기 판매한 ‘역마진’ 때문에 불가피한 인상이었다고 해요. 일반용은 상대적으로 덜 올랐지만, 대용량 사용자는 부담이 커졌죠.

     

    소상공인 부담은 어땠을까. 일반용(갑) 사용자(4-300kW)는 인상폭이 작아 비교적 부담 덜했어요. 하지만 300kW 이상 일반용(을)은 고압별로 큰 인상을 겪었어요. 예를 들어, 고압C 고객은 2022-2023년 총 21.7원/kWh 올랐으니 대형 매장 운영비에 큰 타격이었죠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7월 전기요금 인상 전망

     

    구분 인상 여부 예상 인상폭 적용 시기 영향
    일반용(갑) 동결 0원/kWh 2025.7 소상공인
    일반용(을) 인상 10.2원/kWh 2025.7 대형 빌딩
    산업용 인상 5.2-10.2원/kWh 2025.7 중소기업

     

    2025년 7월 일반용(갑)은 동결이에요. 소상공인들이 주로 쓰는 일반용(갑)은 2025년 7월 동결돼서 부담이 없어요. 4-300kW 사용자는 계속 동결 혜택 받으니, 소규모 식당이나 가게 운영하는 분들은 한시름 놓으셔도 돼요. 대신, 최대부하 시간대(7-8월 14-17시)에 전기 사용 줄이면 더 절약 가능해요 :)

     

    일반용(을)은 인상될 예정이에요. 대형 빌딩이나 마트 같은 일반용(을)은 10.2원/kWh 인상이 예정돼 있어요. 300kW 이상 대용량 사용자는 월 연평균 1억원 정도 추가 부담 있을 수 있으니, 에너지 효율 설비 도입 검토해볼 만해요. 한전ON에서 상세 요금 확인하세요!

     

    산업용도 같이 인상돼요. 산업용(갑)은 5.2원/kWh, 산업용(을)은 10.2원/kWh 인상돼 중소기업이나 대기업 부담이 커져요. 전체 전력 사용량의 53.2%를 차지하는 산업용 인상으로 한전은 연간 4조7천억원 수익 증가 기대한다고 해요.

     

    왜 인상하나요? 한전의 203조원 부채와 연료비 상승이 주요 원인이에요. 2025년 7월 인상은 일반용(갑)을 제외한 대용량 사용자 중심으로 진행돼 소상공인 부담은 최소화하려는 의도예요. 그래도 요금 부담 느끼신다면, 에너지 절약 장비 도입 고려해보세요 :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일반용 전기요금 절약 꿀팁

     

    방법 효과 적용 시간 대상 비고
    경부하 시간대 요금 절감 22:00-08:00 모두 78.3원/kWh
    고효율 기기 소비전력 감소 상시 대형 기기 1등급 추천
    대기전력 차단 5-10% 절약 상시 전자제품 플러그 뽑기
    계약전력 조정 기본요금 감소 상시 고객 선택 한전 상담

     

    경부하 시간대에 전기 쓰세요. 일반용(갑)Ⅱ, (을)은 밤 22시-08시가 경부하 요금 78.3원/kWh로 가장 저렴해요. 에어컨이나 세탁기 같은 전력 소모 큰 기기는 이 시간대에 돌리면 월 5-10% 절약 가능해요. 한전ON에서 사용 시간대 분석해보면 어디서 새는 지 딱 보인답니다 :)

     

    고효율 기기로 바꾸는 것도 방법이에요. 에너지효율 1등급 에어컨, 조명 같은 기기 쓰면 소비전력 20-30% 줄어들어요. 초기 비용 들지만 장기적으론 요금 절감 효과 커요. 특히 7-8월 최대부하 시간에 전기 사용량 줄이면 요금 폭탄 피할 수 있죠!

     

    대기전력 꼭 잡아야 해요. 컴퓨터, 충전기 같은 전자제품은 안 써도 대기전력 먹어요. 월 5-10% 요금이 여기서 샐 수 있으니, 멀티탭 꺼두거나 플러그 뽑는 습관 들이면 좋아요. 소상공인들, 매장 문 닫을 때 전원 차단 꼭 확인하세요 :)

     

    계약전력 조정도 고려해보세요. 계약전력이 높으면 기본요금이 비싸져요. 실제 사용량보다 높게 설정돼 있다면 한전 상담 받아 계약전력 낮추면 기본요금 줄일 수 있어요. 특히 소규모 가게는 이 방법으로 월 몇 만원 아낄 수 있답니다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마무리 간단요약

    • 일반용 요금표 확인하세요. 4-300kW는 시간대별 요금 달라요.
    • 2022-2023 인상 많았어요. 일반용(을)은 21.7원/kWh까지 올랐죠.
    • 2025년 7월 동결과 인상. 일반용(갑)은 동결, (을)은 10.2원 인상.
    • 절약은 경부하 시간대. 밤 22시-08시에 전기 쓰면 저렴해요.
    • 고효율 기기와 대기전력. 1등급 기기와 플러그 뽑기로 절약 가능!

    댓글